Discover맛있는 교회사 이야기[09/06]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6
[09/06]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6

[09/06]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6

Update: 2015-09-06
Share

Description

츠빙글리의 신학사상

츠빙글리는 한 마디로 철저하게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종교개혁과 사회변혁을 이루려고 힘썼던 개혁가였습니다. 스위스연방체가 양분되며 카펠전쟁을 치르다가 전사하였지만 그의 신학사상은 오늘날 교회 안에서는 장로교로 대표되는 개혁교회를 이루었고 사회적으로는 아르투어 리히를 통해 경제윤리로 구현되었습니다.

츠빙글리의 경제 윤리

아투어 리히는 취리히 대학에 봉직한 기독교경제윤리학자로 1930년대 ‘땅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사회변혁이 필수’라고 주장한 레온하르트 라가르목사의 강연회에 참석한 것이 인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대학에 진학하였고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유산을 발견하였으며 취리히대학에 머물며 경제윤리학자로 그리고 학문의 실천가로 살아갔습니다.

그는 츠빙글리의 ‘하나님의 공의와 인간의 정의’에 주목했는데 츠빙글리는 두 개의 법 또는 두 개의 의를 이야기 하면서 인간 정의의 기초와 목표는 하나님의 공의에 있으며 특히 산상수훈에서 그 실체를 찾아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공의는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는데 그 까닭은 인간은 죄인이기 때문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죄의 용서가 필수적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순종하여 살아야만 한다고 했습니다. 그가 이야기한 하나님의 공의는 사랑의 계명이고 속사람과 관련되어 있으며 인간의 정의는 겉에 드러나는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었습니다. 이 둘은 구분은 되지만 결코 나눌 수는 없는 것이고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져야만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 성경은 책속에만 머물 뿐 삶의 책으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우리는 하나님의 뜻을 세상에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다름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의 정의를 지킬 뿐 아니라 하나님의 공의를 부단히 추구해야만 하는데 인간의 정의를 세우는 책임은 정부에, 하나님의 공의를 세우는 일은 교회가 책임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츠빙글리는 당시 경제현실 가운데 이자율과 관련해서 인간은 모든 재물의 청지기일 뿐이므로 이자를 받지 말아야 하지만 현실적 대안으로 5%의 이자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즉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은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유일한 권위로 삼아 그 말씀을 강단에서 선포하고 그에 따라 교회개혁과 사회변혁을 이루어야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츠빙글리의 신학사상을 아르투어 리히가 20세기 들어 재발견하였고 이를 기초로 하나님의 공의와 인간의 정의가 현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제 윤리를 모색하였습니다.

츠빙글리의 사회윤리에 기초한 아르투어 리히의 경제질서구상

1989년 유럽의 동구권이 몰락하여 시장경제질서에 종속되자 냉전질서는 종식되어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가 도래했고 정치.이데올로기는 경제중심시대로 이관되었습니다.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유산을 다시 발견한 리히는 시장경제질서만이 존속하는 시점에서 어떻게 정의로운 경제질서를 세울 것인가에 관심을 두어 츠빙글리 사상에 기초한 실천 가능한 경제윤리를 모색하고 추구했습니다. 당시 동구권은 서구와 같은 수준에 이르고자 하는 경제욕구가 상승하며 약육강식의 자본주의시장이 확대되었고, 서유럽은 이런 움직임에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며 새로운 시장 확보에 주력하였으며 아시아와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는 낙후된 경제현실 속에서 열강에 의한 착취가 강화될 것을 우려하던 상황이었습니다.

시장경제질서란 개인의 자유와 이웃에 대한 책임을 기본으로 최선의 유용성을 추구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판매자와 구매자가 상호 만족에 이르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인간의 이기적 욕망에 작용이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도 했습니다. 이를 신학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자기중심적 존재 즉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추구하는 죄성을 가진 존재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제질서 속에 정의가 이루어지려면 아담 스미스의 말대로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해야만 하는데 리히는 그러한 손이 작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큰 손들이 작용하여 불공정과 불의가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도덕성을 갖춘 사람들이 경제 주체가 되어야 하고 공정한 규칙에 따라 경제 게임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리히는 실제로 작용하지 않는 보이지 않는 손을 대신해서 정부가 개입해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분배의 문제와 관련해서 그는 자본 지분의 51%를 갖는 노동자 조합을 제안했고 환경문제와 관련해서는 자연이란 무한공급 가능한 소비재가 아니며 생산의 요소로 인정해야만 한다고 했습니다.

물론 경제 다윈의 법칙인 적자생존의 법칙이 작용하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를 심화되었고 미국 중심의 신자유주의 물결이 온통 세상을 덮으며 리히의 경제질서구상은 벽에 부딪힐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16세기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에 따른 개혁교회 전통과 기본정신은 새 시대에 새롭게 조명되어 다시 살아나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Comments 
00:00
00:00
x

0.5x

0.8x

1.0x

1.25x

1.5x

2.0x

3.0x

Sleep Timer

Off

End of Episod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09/06]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6

[09/06]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츠빙글리6

CBS